탑 이미지 탑 이미지

경제발전관

Economic Development Hall

경제발전관 : 도전과 극복,
그리고 계속되는 도전

경제발전관은 도전과 극복이라는 일관된 하나의 주제를 통해 대한민국의 경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총 네 개의 시기로 다루고 있습니다.

ZONE 1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경제발전관 제 1시기(1945 ~ 1960)

폐허

분단의 아픔 속에서도 민주공화국을 근간으로 경제의 기초 질서를 다져 나갔으나, 6·25전쟁으로 국토의 대부분이 폐허가 된 대한민국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1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경제발전관 제 1시기(1945 ~ 1960)

제헌헌법, 경제질서의 기초

1948년 7월 17일 「제헌헌법」을 공포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과 통치구조,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대한민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ZONE 1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경제발전관 제 1시기(1945 ~ 1960)

유상몰수·유상분배 방식의 농지개혁

광복 이후의 남한은 지주와 소작농 간의 경제적 불평등이 심각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남한의 농지개혁 과정 및 성과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ZONE 1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경제발전관 제 1시기(1945 ~ 1960)

미래를 내다본 원조의 활용

식량, 농산물 등 해외로부터 원조를 받아 살아가던 1950년대 대한민국의 모습과 이러한 해외원조를 투자재원으로 활용하려던 노력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ZONE 1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경제발전관 제 1시기(1945 ~ 1960)

국민을 문맹에서 해방시킨 교육투자

78%에 달하던 문맹률을 낮추고, 민주주의의 정착과 경제발전을 위해 대한민국이 문맹퇴치운동, 초등교육 의무화, 사범교육을 확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1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경제발전관 제 1시기(1945 ~ 1960)

폐허 속에 심은 희망의 씨앗

6·25전쟁으로 인한 폐허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심은 희망의 씨앗들이 어떠한 성과로 이어졌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빈곤

6·25전쟁의 피해는 복구했지만 무상원조가 점차 줄어들면서 대한민국의 경제는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원자재와 중간재를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대한민국의 1960년대 모습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수출에서 찾은 빈곤의 출구

수출 중심의 산업발전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산업고도화를 위해 중화학공업을 적극 육성한 대한민국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수출을 위한 국토공간의 변화

도로·항만·전력 등 각종 인프라의 구축과 산업발전을 위해 전국 각지에 산업단지를 조성한 대한민국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산업발전에 맞춘 인재양성

국민들의 높은 교육열은 중등교육 보편화로 이어지고, 정부의 기능인력·연구인력 육성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은 중화학공업 발전으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

산업화로 심각해진 도시와 농촌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실시된 새마을운동과 녹색혁명, 그리고 황폐화된 산림을 푸른 산으로 가꾸고자 추진된 산림녹화의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고속성장을 이끈 노동자의 힘

1960~70년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고된 노동을 참고 견디며 교육과 저축에 힘쓴 대한민국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ZONE 2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경제발전관 제 2시기(1961 ~ 1979)

빈곤을 딛고 이루어 낸 고속성장의 기반

수출지향 공업화와 기능인력 양성, 그리고 저임금과 힘든 노동 속에서도 교육에 매진한 국민들의 노력이 만든 고속성장의 성과를 볼 수 있습니다.

ZONE 3

불균형을 조절하고 지속한 경제발전

경제발전관 제 3시기(1980 ~ 1996)

불균형

1960년 이후 경제는 빠르게 발전했지만, 물가불안 등 고도성장의 부작용으로 고통받던 1980년 대한민국의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3

불균형을 조절하고 지속한 경제발전

경제발전관 제 3시기(1980 ~ 1996)

안정을 기반으로 도약한 수출

경제안정화 정책과 중화학공업 투자조정으로 경제를 안정시키고, 이후 3저(3低) 호황과 동구권 수교를 바탕으로 무역과 교역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3

불균형을 조절하고 지속한 경제발전

경제발전관 제 3시기(1980 ~ 1996)

국민복지와 경제 선진화

1987년 민주화운동으로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함과 동시에 금융·자본 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노력했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ZONE 3

불균형을 조절하고 지속한 경제발전

경제발전관 제 3시기(1980 ~ 1996)

산업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산업화를 통해 취업자 수와 임금이 크게 증가했지만 과도한 근로시간과 노동인권 억압이 노동운동으로 분출되었던 당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ZONE 3

불균형을 조절하고 지속한 경제발전

경제발전관 제 3시기(1980 ~ 1996)

불균형을 조절하고 지속한 경제발전

안정·자율·개방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고속성장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민간경제를 확대하며 국민의 권리의식을 바탕으로 민주주의가 자리잡던 당시 시대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외환위기

기업의 과도한 차입경영과 관리·감독이 부족으로 금융·자본 시장이 낳은 사상 최악의 외환위기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금모으기 운동에서 4대 개혁까지

1997년 말 국가부도 위기에 봉착하였으나, 금모으기 운동과 기업·금융·노동·공공 부문의 4대 개혁 등으로 4년 만에 외환위기를 극복한 정부·기업·국민의 자발적 노력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경제의 새로운 동력, 벤처기업

대기업 위주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 지식정보화사회 구현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전 인구의 48%가 거주할 정도로 수도권 인구집중 문제는 심각했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국토 균형발전 노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세계 속 한국경제

정부수립 이후 교역국을 꾸준히 확대하고, 국제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과 원조를 통해 세계에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6·25전쟁을 시작으로 외환위기까지 끝없이 이어진 위기들을 극복하며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루어 낸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볼 수 있습니다.

ZONE 4

국가부도 위기를 넘어 재도약하는 경제

경제발전관 제 4시기(1997 ~ 현재)

21세기 도전과제

저성장, 일자리 부족, 혁신둔화, 사회적·경제적 불평등, 저출산 등 21세기 대한민국에 남은 과제들과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다양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