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지식정보

방과후학교,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까? 🔍
  1. 지식정보
  2. 방과후학교,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까? 🔍

0 0 0 0 0 0.0

  • 조회수 : 925 회
  • 공유수 : 0 회
  • 등록일 : 2022.06.17

Gov Nuri Copyright GNR

방과후학교,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까? 🔍

■ 코로나19가 유행하며 학생 교육과 돌봄을 내실화할 필요성이 제기된 가운데, 본고는 방과후학교 참여와 초등학생 발달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방과후학교와 관련하여 초등학생 발달 증진 방안을 제언
- 방과후학교란 정규 수업과 별도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해 학교 내에서 일정 기간 지속되는 교육ㆍ돌봄 활동으로, 다양한 교과 및 특기적성 프로그램 중 수강할 프로그램을 학생이 선택
■ 분석 결과, 방과후학교 참여와 초등학생 발달의 관련성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음.
- 방과후학교에 1시간 미만 참여했을 때 건강상태 평가가, 2~3시간 참여했을 때 학업에 대한 활기, 끈기, 체질량지수가 향상되는 반면, 2~3시간 참여했을 때 공격성, 우울, 친구관계가, 2시간 이상 참여했을 때 신체증상이 악화됨.
- 이러한 결과는 방과후학교 참여 시간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의 차이, 방과후학교의 교수학습방법, 강사 특성 등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
■ 방과후학교가 학생 역량을 강화하려면 정규 수업과 학생 지도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어야 하며 긍정적 상호작용이 동반된 돌봄을 충분히 제공해야 함.
- 초등학교의 정규 수업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간에 아동의 흥미, 경험, 발달 특성, 학습 이력 등의 정보가 공유된다면 방과후학교는 이를 토대로 발전적 형태의 학습 자극 부여가 가능
- 학생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돌봄은 학생의 잠재력을 밖으로 끌어내기 위한 교육의 전제조건임.
■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강사를 확충하는 한편, 방과후활동 프로그램의 제공처를 지역사회로 확대하고 지자체가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 프로그램의 체계성과 효과성을 개선
- 프로그램 강사 희망자를 위한 의무 교육을 마련하고 강사 선발 시 가상적 교육 상황에 대해 대처방식을 묻는 다면인적성면접을 도입해 교육자로서의 자질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
- 지자체에서 방과후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의 방과후활동을 통합적으로 계획, 추진, 관리하는 등 총괄하고, 학교는 그 틀 내에서 수강 모집 안내, 공간 제공에 적극 협조하는 것이 바람직

GKEDC 연관 자료

Comment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