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여성의 근로 지속 여부 및 출산 관련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본고에서는 기혼 여성의 근로 지속 여부와 출산에 대한 일-가정 양립정책 및 배우자 가사분담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경력단절 및 출산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함.
실증분석 결과, 일-가정 양립정책, 남성의 가사 참여는 기혼 여성의 근로 지속 확률과 출산 확률이 높은 것과 관련됨.
일-가정 양립정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가입률을 높이는 한편, 해당 사업체에 대한 스마트 근로감독을 확대하고 대체인력 운용 컨설팅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남성의 가사 참여를 늘리기 위해서는 남성 육아휴직 자체에 보너스를 지급하고 육아휴직 일수가 적을수록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